경기도 하남 감일·감북 일대 | 강동구와 인접, 하남교산과 연계, 교통망 추가 확충 검토 |
경기도 남양주 진접·별내 추가지구 | GTX-B 노선과 연결성 우수, 인구 수요 예측 상 추가 개발 필요 |
경기도 광명·시흥 일부 미개발지 | 기존 3기 신도시 광명시흥지구 인근, 인구 유입 수요 여전 |
경기도 의왕 포일·오전동 일대 | 수도권남부 접근성 강화, 과천·안양과 연계 개발 가능성 |
경기도 부천 대장동 일대 | 부천대장지구와 연계, 서부권역 수요 흡수 기대 |
인천 검단 남측 일부 지역 | 검단신도시와 연계, GTX-D 노선 검토 지역 인근 |
경기 고양 일산 서부 지역 | 일산신도시 노후화 보완, 서측 신규 택지 개발 검토 가능성 |
■ 4기 신도시 기본 방향
교통 접근성 중심(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 노선 연계)
청년·신혼부부·무주택자 중심 공급
자족도시형(일자리+주거+교통) 개발 지향
기존 3기 신도시보다 ▶ 교통 계획 선(先) 구축
■ 유력 거론 지역
지역 특징 및 근거
■ 서울권 내 소규모 후보지 (압축형 개발)
서울 외곽지(강서구, 노원구, 은평구 일대 등)
재개발/재정비 구역과 연계한 소규모 신도시급 복합 개발 검토 가능성
■ 주의 사항
확정된 것은 없음 (대선 이후 정책 확정 예정)
공급 속도는 ① GTX 연계 여부, ② 기존 지자체 협의, ③ 중앙정부 계획 발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
"완전한 신도시"보다는 "압축형 자족형 도시" 지향 가능성 큼
✅ 핵심 요약
"4기 신도시는 3기 신도시 미흡한 교통 문제를 보완하며, 서울 접근성이 뛰어난 수도권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교통-자족-주거를 갖춘 신개념 신도시로 개발될 전망."